[맞춤법] 보조 용언의 띄어쓰기

2013-10-18 13:42
16,713
0
0
본문
보조 용언은 본용언과 띄어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아/-어/-여’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은 붙여 적을 수 있다,
어미 ‘-아/-어/-여’는 하나의 형태소이며, 이형태(異形態)이다.
하나의 형태소가 주위 환경에 따라 음상을 달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달라진 한 형태소의 여러 모양을 가리켜 이형태(異形態)라고 한다.
'가 보다, 써 보다'의 '가, 써'는 '가-+-아, 쓰-+-어'가 준 형태이다.
그러므로 보조 용언의 띄어쓰기에 따라
'가 보다/써 보다(원칙)', '가보다/써보다(허용)'과 같이 적을 수 있다
기억해 두다, 음식을 해 주다, 생각해 봐, 공부해 봐’의 ‘해’는 ‘하-+-여’가 준 형태이므로
기억해두다/(음식을) 해주다/생각해봐./공부해봐.와 같이 적을 수 있다.
'한글 맞춤법'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5절 준말
‘-아/-어/-여’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은 붙여 적을 수 있다,
어미 ‘-아/-어/-여’는 하나의 형태소이며, 이형태(異形態)이다.
하나의 형태소가 주위 환경에 따라 음상을 달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달라진 한 형태소의 여러 모양을 가리켜 이형태(異形態)라고 한다.
'가 보다, 써 보다'의 '가, 써'는 '가-+-아, 쓰-+-어'가 준 형태이다.
그러므로 보조 용언의 띄어쓰기에 따라
'가 보다/써 보다(원칙)', '가보다/써보다(허용)'과 같이 적을 수 있다
기억해 두다, 음식을 해 주다, 생각해 봐, 공부해 봐’의 ‘해’는 ‘하-+-여’가 준 형태이므로
기억해두다/(음식을) 해주다/생각해봐./공부해봐.와 같이 적을 수 있다.
'한글 맞춤법'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5절 준말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