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고려 : 왕 식렴

본문
태조의 사촌 동생이라 한다.
6촌이라는 설도 있으나, 뭐가 되었건, 태조가 이복형제도 없는 외아들이었으므로 친동생과 다름없는 가까운 친척이었다.
왕 륭 일가가 궁예에 투항할 때 행동을 같이 한 것으로 보이며 태조의 쿠데타에도 일익을 담당한 듯하다.
태조가 평양을 수복한 후 그 관리를 맡았으며, 이후 청천강까지 영토를 넓혀 신임을 얻었다.
북방은 태조의 기반이자 배후로서 극히 중요한 지역이었으므로, 그 관리를 총괄하는 왕 식렴의 정치적 위상 또한 대단했을 것이다.
통일 전쟁에도 깊숙이 관여하였으며, 유 금필 등의 공신 또는 호족 세력을 견제하는 역할도 한 듯하다.
기반이 미약하여 호족들을 통제하기 불가능했던 혜종은 또 다른 호족 왕 규와 제휴하여 왕권을 유지하고자 하였고, 왕 규는 가장 큰 위협인 정종 형제를 제거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사연이야 어떻든 겉보기에는 정권을 잡은 외척이 왕실을 핍박하는 전형적인 세도정치의 모습이었으므로,
왕실의 어른인 왕 식렴이 보기에 영 마땅치 않았을 것이고, 정종 형제의 반격으로 쟁투가 교착상태에 빠지자, 혜종보다는 정종이 왕실을 위해 낫다는 판단을 한 듯하다.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던 왕 식렴의 개입은 정쟁의 교착 상태를 일거에 깨뜨렸고,
혜종의 갑작스러운 병사와 왕규의 어설픈 반란 시도라는 이해하기 어려운 역사의 기록을 만들었을 것이다.
정치의 전면에 나선 왕 식렴은 정종을 왕위에 올린 후 나라의 근본적인 개혁을 위해, 자신의 근거지인 서경으로 수도를 옮기고자 하였는데,
천도는 난맥상인 고려의 지배체제를 일거에 바꿀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기는 했으나, 그만큼 위험 부담이 큰 사업이기도 하였다.
예상대로 수 많은 난관들이 발목을 잡았는데, 결정적인 장애물은 민심의 이반과 호족들의 비협조 내지 반발이었고, 결국 정종의 이상한 발병과 왕 식렴의 뜻하지 않은 죽음으로 추진 동력을 상실하고 말았다.
정종의 발병 원인이 천둥소리라는 황당한 이유인 것으로 보아, 왕 식렴도 곱게 죽은 것은 아닌 듯한데,
평양의 공사 현장에서 아들이 죽는 바람에 상심하여 죽었다는 설도 있으나, 그보다는 독살이나 암살 같은, 보다 은밀한 방법이었을 것이다.
혜종기가 왕 규의 시대라면 정종기는 왕 식렴의 시대라 할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