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고려: 왕규의 난

본문
함 규
경기도 광주의 대호족으로 개국공신이며 사성 왕씨이다.
태조에게 두 딸을 바쳐 왕자를 생산하게 하였으며, 박 술희와 함께 태조의 유명를 받은 고명대신이고,
혜종에게 나머지 딸을 후궁으로 들인 2대에 걸친 외척이었다,.
외가와 처가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었던 혜종에게 왕 규는 새로 생긴 든든한 처가였을 것이므로, 자연스레 왕당파의 수장도 되었을 것이다.
명목만 놓고 본다면 당대에 그를 능가하는 스펙을 찾아 보기 힘들 정도로, 능란한 처세로 난세를 살아오며 남부러울 것 없게 된 왕 규가 어리석은 야심을 품고 실익도, 명분도 없는 반란을 획책했다는 것이 왕 규의 난이다.
정사의 기록을 살펴보면
945년(혜종 2) 왕 규는 야심을 품고
임금의 이복동생 요와 소가 딴 마음을 품고 있다고 무고하였으나 임금은 거짓말임을 알고 더욱 동생들을 사랑하였고,
또한 점복에 밝은 최 지몽이 하늘의 별을 보고 나라에 역적이 일어나겠다 하니,
임금은 왕 규가 자기 동생들을 해치려는 징조로 짐작하여, 소를 부마로 맞이하여 집안을 튼튼하게 해 주었고,
그러자 왕 규는 외손 광주원군을 왕위에 앉히려고 밤중에 임금이 깊이 잠든 틈을 타서 심복을 몰래 들여보내 죽이려고 하였는데,
임금이 마침 잠이 깨어 한주먹으로 이를 때려죽인 후 사람을 불러 끌어내게 하여 실패하였으나,
왕은 이 엄청난 일을 문제삼지 않고 그냥 넘어갔다고 한다.
그리고 하루는 임금이 몸이 편치 않아 신덕전에 있었는데
최 지몽이 아뢰기를 장차 변이 있을 것이니, 자리를 옮기는 것이 좋겠다고 하여 몰래 중광전으로 옮겼는데.
그날 밤에 정말 왕 규가 심복들을 거느리고 벽을 뚫고 침입하였고,
임금이 그 자리에 없자 마침 그 자리에 있던 최지몽에게 “너의 수작이 아니냐?”라고 물었으나,
최 지몽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고, 임금도 이를 불문에 붙였다 한다.
그해(945년)에 혜종이 세상을 떠나고 동생 요가 왕위에 오르니, 이가 정종인데,
혜종을 살해하려다 실패했던 왕 규는 재빨리 정종의 명령을 사칭하여 왕실에 충성한 박 술희를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