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문학 분류

[좀 나아진 문장 6] 유학과 과학

컨텐츠 정보

본문

 

 

   영적인 존재가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아이디어는 과학의 발전을 방해했는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자연적 원인을 찾는 대신에 영적 존재를 불러내면 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축의 시대가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결코 제거할 수 없는 아이디어였다. 자연적인 것과 초자연적인 것을 구별하자는 아이디어는 우리가 아는 한 축의 시대의 산물이다. 이전에는 두 영역이 너무나 철저하게 뒤섞여 있어서 과학은 신성한 영역으로, 의학은 주술의 영역으로 여겨졌다.

   유학자들은 삶을 이해할 때까지 죽음을 생각하지 말라는 공자의 가르침에 따랐고, 기원전 239년경에 씌어진 한 유교 경전은 원인을 알지 못한다면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 두 생각에서 우리는 과학이라고 하는 아이디어의 태동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왜 그런가?

   유학자들은인간사-정치현실적인 윤리-에 관심을 가졌고 자연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다. 그들이 이 문제에 파고든다는 것은 미신으로 간주해야 할 것에 매달린다는 이야기였다. 즉 생명이 없는 사물에 감정과 의지를 이입하거나, 만물에 영기가 깃들어 있다고 믿거나, 자연의 세계는 인간의 죄악이나 선함에 반응한다고 생각하는 일 말이다. 한편 물이 산을 떠남은 물이 산을 싫어해서가 아니라 물은 원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이며, 밀은 재배되거나 창고에 저장되려는 바람을 갖고 있지 않기에, 현자는 마땅히 좋음이나 나쁨이 아니라 사물의 원인에 의문을 가졌던 것이다. 이렇듯 자연의 영역이 점차 초자연의 영역을 몰아내면서 과학이라는 아이디어는 세계를 바꾸어 나가기 시작했다. 사실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 기술의 보급창이 본래는 서양이 아니라 중국이었음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서양인들이 칼을 휘두르고 무훈(武勳)을 노래하고 있을 때 중국인들은 붓을 잡고, 과학적 사유에 몰두했다.

 

 

관련자료

댓글 1

아온님의 댓글

동양 철학의 전통에는 그 지랄맞은 신이 없지요.
덕분에 본질이니 원형이니 하는 것들도 없었습니다.
덕분에 유물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를 할 여지가 많았습니다.
다만 후대로 내려오면서 이기론처럼 형이상학으로 고착화되어 버린게 아쉽기는 합니다.
본질을 찾기 시작하면 과학적 발전은 종치는 겁니다.
본질은 아무도 본 사람이 없기 때문에 힘센 놈이 우기면 그만이거든요...
천명이니 인간의 도리니 정명 사상이니 하는 것들 말입니다.

최근글




새댓글


페이스북에서 만나는 마루밑다락방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