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칼럼
국제/연구자료 분류

샤힌 기라이, 크림한국의 마지막 칸.

컨텐츠 정보

본문

 크림한국의 마지막 칸이며 비운하게 삶을 끝낸 샤힌 기라이는 1745년 어느 날, 오스만 제국의 에디르네에서 태어났다. 오스만의 영토에서 출생했고, 퀴췩-카이나르자 조약(1774) 전까지 크림한국이 오스만의 속국이었다는 점을 볼 때, 그의 친아버지는 상국(上國)으로 보내진 불모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유·청년기를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에서 보낸 그는 크림 타타르어, 오스만 터키어, 이탈리아어, 그리스어 등 외국어에 능통한 수재였다.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여제가 그를 두고 '신사적인 타타르인'이라 칭했던 것도 그런 연유에서 비롯된 듯 하다.¹

 

 1769년, 샤힌은 당시 크림의 칸이던 크름 기라이의 부름으로 크림한국에 입국해 노가이족의 베크로 임명받았다. 이때 크림한국을 둘러싼 국제정세는 쇠퇴하는 오스만과 약진하는 러시아 사이의 충돌²로 한창 시끄러웠는데, '상전' 오스만으로 인해 크림도 그 속에 휘말려 자주 러시아에게 공격받았다. 견디다 못한 셀림 3세 기라이(재위: 1770~1771)는 러시아와의 화친을 목표로 샤힌 기라이를 필두로 한 사절단을 파견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샤힌 기라이는 예카테리나 여제를 접견해 좋은 인상을 주고 돌아갔다. 이후에도 그는 점점 승진하여, 러시아와 화친을 도모했다는 이유 때문이었는지 칸이 바뀌었어도³ 칸국에서 영향력이 있는 자리인 칼가 술탄에 올랐다. 불과 몇년 만에 일개 지역 유지에서 고위급 귀족으로 고속승진했으니 어찌보면 낙하산(?) 인사라 할 수 있겠다.

 

 한편 전쟁에서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연전연승을 거두었으며, 수세에 몰린 투르크는 러시아와 강화를 체결해야 했다. 그 결과, 퀴췩-카이나르자 조약(1774)의 체결로 전쟁이 끝나고, 러시아의 흑해 진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774년을 기점으로 크림 한국과 오스만 사이의 '주고 받는'유대관계³는 사실상 끊어졌다. 그러나 몇백년의 유대가 한순간에 끊어지지 않았고, 오스만은 끊임없이 친오스만 성향의 타타르 지배층과 접촉해 크림에 대한 종주권을 되찾고 싶어했다.

 

 퀴췩-카이나르자 조약이 체결된 이듬해에 샤힙 2세 기라이가 사망한 후 데블렛 4세 기라이(재위: 1777~1783)가 칸위에 올라 오스만에 신속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크림은 금새 친러시아 VS 친오스만 구도로 양분되었다. 이는 내외적으로 혼란을 불러왔으며 데블레트의 친오정책에 반발한 샤힌 기라이는 러시아와 노가이족의 지원을 얻어 칸을 내쫒고 자신이 그 위(位)에 앉았다. 그 후, 그는 1783년까지 이어지는 재위기간동안 바흐치사라이에서 카파로의 수도 이전, 근대식 공장 설립, 칸국 내의 대다수인 이슬람교도의 평등권 신장을 위해 노력했으며 '개혁'의 표본을 러시아에서 찾았다. 그러던 중, 1781~1782년에 일어난 바하두르의 반란으로 샤힌 기라이가 추진하던 개혁은 큰 차질을 빚었다. 비록 반란이 진압됬지만 칸의 권위​는 크게 약화되었고, 러시아는 이를 기회로 1783년 크림 한국을 합병했다.

 

 크림이 러시아에 합병된 후 샤힌 기라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가택연금 되었으며, 그가 속한 기라이 가문의 구성원들은 옛 크림한국 지역에서 쫒겨났다. 가택연금 중 그는 러시아, 오스만 양국에 거주지를 에디르네로 옮기는 것을 허락받았다(1787). 하지만 오스만 정부는 샤힌 기라이가 '정계에서 은퇴하지 않고 파디샤의 잠재적 도전자가 되리라' 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⁵,  로도스로 유배보내 같은해 말에 처형했다. 크림 한국을 존속하고자 노력했지만 끝내 비운의 죽음을 맞은 것이었다.

 

-------------------------------------------------------------

1. '신사적인 타타르인' 이라는 표현 뒤에는 타타르인에 대한 증오와 멸시가 묻어있다. 그래서인지 예카테리나가 샤힌 기라이를 보고 후일담을 남겼을 때 '야만족 타타르에 저런 인물이 있구나'라 생각한 듯 싶다.

 

2. 러시아-투르크 전쟁(1768~1774).

 

3. 17세기부터 1774년 퀴췩-카이나르자 조약 전까지 크림한국의 칸은 오스만제국 파디샤에 의해 자주 바뀌었으며 칸국의 지배계층(칼가, 누레딘, 베크 등)은 그와 결탁해 사익을 챙기려 했다. 그 덕분에 칸의 평균 재위년도는 적어도 10년을 채 넘기지 못하거나 자주 교체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4. 크림이 오스만의 가신이 된 이래, 오스만 제국의 보호를 받게 되어 외적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을 누렸으며 그 대가로 제국의 원정에 군사를 제공해야 했다.

 

5. 기라이 가문의 구성원은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여겨져, 오스만제국에서 오스만 황가의 황통이 끊기면 기라이 가문이 이를 계승하는 것이 원칙이다. 여기에 샤힌 기라이가 러시아에 호의적이었으니 오스만 제국에서는 그를 달갑지 않아 했을 것이다.

 

P.S) 비단 크림 타타르 뿐이랴, 크림 반도에 거주했던 민족들은 지리적 특징으로 말미암아 거주지에서 쫒겨나는 예가 빈번했고, 지금도 그러하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


페이스북에서 만나는 마루밑다락방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