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의 의미

profile_image
2016-10-26 10:15 7,416 0 0 0

본문

보통 사람들에게 불교하면 떠오르는 것은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이거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을 많이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이라는 주문에 담긴 의미에 대해서 자세히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나무아미타불에서 "나무"는 인도어로 <돌아가다> 라는 뜻으로 나무아미타불은 즉, 아미타불에게 돌아가다 라는 말로 해석할 수 있다. 좀더 쉽게 말하면 어려운 일이 있거나 마음이 몹시 힘들 때 아미타불에게 가서는 아미타불에게 의지한다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그리고 나무아미타불을 염원하고 나면 관세음보살이라고 염원하며 주문이 끝이 나는데 이 관세음보살은 자비로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하고 왕생의 길로 인도하는 불교의 보살으로서 본레 산스크리트로 아바로키테슈바라 라고 불리며 중국에서 번역하는 과정에서 관세음으로 우리나라에 전해져 내려왔고 관음보살이라는 약칭으로도 불리기도 하다.

<법화경>의 보문품을 읽어보면 '관음'은 고통에 허덕이는 중생이 일심으로 그 이름을 부르기만 하면 즉시 그 음성을 관하고 해탈시켜 준다 라고 적혀 있어서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은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에게 가면 몹시 힘든 마음도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이 그 힘듦을 보살피고 중생이 의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라고 해석할 수 있겠다.

 

[이 게시물은 마루밑다락방님에 의해 2019-09-19 11:13:00 한국사에서 이동 됨]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마루밑다락방 회원등급 : 지하계 / Level 1
포인트 0
경험치 0
[레벨 1] - 진행률 0%
가입일
2017-11-29 22:06:08
서명
미입력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