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신라사 분류

신라 : 제 48 대 경문왕

컨텐츠 정보

  • 4,197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김 응렴

 

아버지 김 계명은 자살한 희강왕의 손자로서, 문성왕기의 실세였다.

그는 문성왕을 협박하여 아들도 없는 다 늙은 헌안왕에게 왕위를 넘기도록 했다는 의심을 받기도 하는데...

아들을 왕위에 올리기 위한 사전 공작이었다는 의심이 강하게 들지만,

뭐가 되었든... 경문왕은 861년 15세 ( 또는 19세 )에 즉위하였고 상대등 김 안이 섭정하였다.

김 안...

김 안은 문성왕의 아들이었다.

4년 전에는 어리다 하여 왕위도 물려받지 못했는데 그 새 성장하여 상대등이 되었고 섭정을 했다는 이야기이다....음...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이것만이 아니다.

헌안왕은 김 균정의 아들이고, 김 계명은 희강왕의 아들이므로 서로 원수 사이이다.

아무리 적의 적은 친구라지만 김 계명이 헌안왕을 도왔다는 것이... 이해가 쉽지 않고,

헌안왕이 왕위를 합당한 계승권자인 문성왕의 아들을 제쳐 놓고, 아버지의 원수 집안 출신인 계명의 아들에게 물려주었다는 것도 이상하다.

하지만 가장 이상한 것은 왕위를 빼앗긴 꼴이 된 김 안이 경문왕의 섭정을 했다는 것이다.

뭐가 뭔지 모르겠지만 당시 정치의 난맥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까 한다.

 

이듬해에는 섭정이 김 정으로 바뀌었고 신궁에 제사 지내었다.

뭔가 복잡한 일이 있었을 것이다.

3년에 국학에 행차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그 동안 눈치만 봤는데 이제 자신감이 좀 생긴 듯하고.

4년에는 감은사에 행차하였고 일본에서 사신이 왔다는데..

그 동안 잠잠하던 왜구들이 난리를 치기 시작했나 보다.

5년에는 당의 책봉을 받았고 친정을 시작하였다.

6년에 황룡사에 행차하고 백관들에게 잔치를 베푸는 등 본격적인 왕권강화에 나선 듯하나,

이에 대한 귀족들의 저항도 본격화되어, 이찬 윤흥 형제가 모반하다 발각되어 멸족되는 등 뒤숭숭하였다.

다음 해에는 임해전을 중수하는 등 왕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역병에 홍수에 기근까지... 되는 일이 없었다.

다음해 8년에는 정신없는 와중에도 귀족들의 반란이 또 일어나 이찬 김예와 김현을 처형하였다.

9년에 왕자를 보내 당에 조공하였고 유학생을 파견하는 등 정상적인 왕노릇을 하였으나.

10년에 지진, 홍수, 역병에 왕비까지 죽는 불상사가 연이어 일어났다.

12년에는 새 출발을 결심했는지... 신궁에 제사까지 지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진에 기아에...

각지에 사자를 파견하고 구휼미를 풀어 백성들을 위무하였다.

그 다음해인 14년에는 정부 조직을 개편하고 당과의 교류를 예전처럼 활성화시키는 등 분위기 쇄신을 해보려 했으나,

귀족들은 여전하여 이찬 근종이 궁궐까지 쳐들어왔다.

그래도 굴하지 않고 근위병으로 반란군을 때려잡고 근종을 거열형에 처했다.

이해에 최치원이 당에서 급제했다.

15년차인 875년 혜성이 나타나고, 용이 출몰하더니 왕이 죽었다. 향년 30세 ( 또는 34세)

근친 결혼의 부작용인지 아니면 다들 암살을 당하는 것인지.. 

중대 이후 신라 왕들의 명은 왜 이리 짧은지 알 수가 없다.

 

자연재해와 반란이 연속되어 마치 문성왕기를 보는 것 같으나, 다른 점은 반란을 일망타진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외교도 활성화 되어 당과의 교류가 이전 전성기 시절처럼 되었고, 일본과도 교류도 재개된 듯하다.

이는 강해진 왕권을 시사한다 하겠다.


이 양반은 일화가 많은데

제일 유명한 것은 `임금님 귀는 당나귀의 귀` 설화일 것이다.

이 설화는 한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기본 플롯은 동일하고 결말 부분에서만 차이가 난다.

다른 나라에서는 임금이 깨달음을 얻는 경우도 있으나 경문왕은 근심하다 죽는다.

이 설화를 뱀과 함께 잤다는 이야기와 연결시켜 생각해 보면,

경문왕이 친위 세력에 둘러 싸여 골품 귀족들과 대립하였으므로,

귀족들이 반감 내지는 비아냥을 이야기에 담아 그러한 결말을 만든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는데 각각 순서대로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이 되었다.

그리고 장보고의 딸과 통정하여 궁예를 낳았다는 설이 있는데...

사실이라면 장보고는 죽고 난 다음에 외척의 꿈을 이룬 셈이나,

궁예의 출신이 워낙 불확실하여 완전히 믿기는 힘들다.

어쨋든 경문왕 치세 동안 궁예가 태어난 것은 확실한 것 같고, 견훤도 이 시기에 태어났다고 하니,

후삼국 시대가 멀지 않았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


알림 0